카테고리 없음

영상의학과에서 자주 사용하는 의학용어 TOP 30

정바구니 2025. 4. 5.

title image

 

영상의학과에서 자주 사용하는 의학용어 TOP 30



영상의학과는 단순한 X-ray 촬영을 넘어, CT, MRI, PET 등 고도화된 장비를 통해 인체 내부를 들여다보는 현대 의학의 눈입니다.
하지만 영상의학과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일반인에게는 낯설고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영상의학과에서 자주 사용하는 의학용어 30가지를 실제 임상에서의 활용도와 함께 정리해드립니다.

의료진뿐 아니라, 건강검진 결과를 해석하고자 하는 일반인, 의대생, 방사선학과 학생 등 모두에게 유익한 정보가 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영상의학과란 무엇인가요?

영상의학과는 X-ray, CT, MRI, 초음파(USG) 등 다양한 영상 장비를 활용해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의학의 한 분야입니다. 특히 비침습적 방식으로 장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 덕분에, 모든 진료과와 연결되어 있죠.


영상의학과의 장점

장점설명
비침습적 진단피부를 절개하지 않고도 장기 상태를 파악 가능
정확도 높은 진단고해상도 영상으로 질병 위치, 크기, 형태 확인 가능
빠른 검사 및 해석응급 상황에서도 신속한 검사가 가능
다학제 협진에 최적화모든 진료과에서 영상자료 활용 가능
치료 가이드 제공인터벤션 영상의학을 통해 실시간 시술 유도 가능

영상의학과에서 자주 사용하는 의학용어 TOP 30

다음은 영상의학과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 용어와 약어를 정리한 표입니다. 실제 영상 판독지나 진료기록에서 자주 보게 되는 표현들입니다.

용어/약어정식 명칭설명
CXRChest X-Ray흉부 엑스레이
CTComputed Tomography컴퓨터 단층촬영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자기공명영상
USGUltrasonography초음파검사
PETPositron Emission Tomography양전자 방출 단층촬영
DWIDiffusion Weighted Imaging확산강조영상 (주로 뇌졸중 진단)
ADC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확산계수맵
T1WIT1 Weighted ImageT1 강조 영상
T2WIT2 Weighted ImageT2 강조 영상
FLAIRFluid Attenuated Inversion Recovery뇌영상에서 뇌척수액 억제 영상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자기공명혈관조영술
CTACT AngiographyCT를 이용한 혈관조영술
IVPIntravenous Pyelography정맥신우조영술 (요로 검사)
Barium Enema바륨 관장대장조영검사
Hounsfield Unit (HU)밀도 단위CT 영상에서 밀도를 수치로 표현
Echoic음향 반사초음파 영상의 반사 특성
Hyperechoic고음반사밝게 보이는 부위
Hypoechoic저음반사어둡게 보이는 부위
Isoechoic등음반사주변 조직과 유사한 반사
Contrast Enhancement조영증강조영제를 이용한 강조 효과
Interventional Radiology중재적 영상의학시술과 영상진단을 결합한 분야
C-arm이동형 영상 장비수술실 등에서 실시간 영상 획득
Scout View정렬 영상CT 촬영 전 전체 개요 영상
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영상 저장 및 전송 시스템
ROIRegion of Interest분석 대상 영역
Calcification석회화조직 내 칼슘 침착
Mass종괴덩어리 형태 병변
Lesion병변병이 있는 조직이나 부위
Edema부종체액 축적으로 인한 부기
Atrophy위축조직의 크기 감소

어렵게 느껴지는 영상의학 용어, 이렇게 기억하세요!

의학용어는 암기보다는 이해와 맥락 속에서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MRI에서 자주 등장하는 T1WI와 T2WI의 차이를 볼까요?

  • T1WI지방이 밝고 물이 어두운 영상입니다. 구조적 구분에 적합합니다.

  • T2WI물이 밝게 나타나는 영상으로, 염증이나 부종 등 병리적 변화를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

👉 비유로 설명하자면,
T1WI는 건축 도면처럼 구조를 보여주는 영상,
T2WI는 화재감지기처럼 이상 신호를 포착하는 영상입니다.


Q. 영상의학과 약어, 어떻게 익히면 좋을까요?

A. 단순히 암기하기보다 판독지와 병행해서 학습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건강검진 결과지에서 'CXR: No active lung lesion'이라는 문구를 보면 'CXR = 흉부 X-ray'라는 개념이 자연스럽게 연결되죠.

또한, 영상 판독 리포트에서 자주 쓰이는 표현들을 미리 익혀두면 진료 시 의료진과의 소통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활용 팁: 영상의학 용어 공부에 유용한 자료

자료명설명링크
영상의학회 용어집공식 학술 용어 정리대한영상의학회
서울아산병원 의학용어사전환자 중심의 용어 해석서울아산병원
Radiopaedia전 세계 영상의학 정보 데이터베이스영어 기반
[이미지 판독 실습 교재](국내 서점 검색)실제 영상과 함께 용어 익히기국내 의대생 교재

마무리하며

영상의학은 현대 의학에서 빠질 수 없는 핵심 분야이며, 그 안에서 쓰이는 용어는 단순 정보 이상의 ‘의사소통의 언어’입니다.
이 글을 통해 영상 판독지나 의학 서적에서 자주 보던 약어들이 조금은 더 친숙하게 느껴졌기를 바랍니다.

📌 여러분도 병원에서 받으신 영상자료나 건강검진 결과에서 낯선 용어가 있었다면, 오늘 알려드린 목록에서 직접 찾아보며 익혀보세요.
더 궁금한 내용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


💬 도움이 되셨다면 이 글을 저장하거나 공유해 주세요.
영상의학 용어, 더 쉽고 정확하게 익혀가는 길에 함께하겠습니다!

댓글

💲 추천 글